27 C
Seoul
Wednesday, May 31, 2023
HomeGardening(투자활동)월급쟁이가 재태크를 언제부터해야 효과적일까?

월급쟁이가 재태크를 언제부터해야 효과적일까?

+1

월급쟁이가 투자공부를 한다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일단 회사에서 일에 치이고, 사람에 치이고, 출퇴근 길에서 남은 에너지마져 소모하고, 가족의 의무를 다하고 나면 정말 개인에게 남은 시간은 얼마 되지 않을 뿐더러 이런 시간을 또 쪼개서 뭔가 어려운 것, 그리고 누가 잘 가르쳐주지도 않는 재태크(투자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어려운 일도 그 보상이 눈앞에 아른거리고, 내가 하는 행동이 바로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면 어느 정도 어려운 일이라도 즐겁게 힘을내서 할 수 있는것이 또한 사람의 습성이다.

월급쟁이가 충분히 돈을 아껴서 한달에 200만원을 저축할 수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 글을 보고 있는 사람은 아마 자산이 2억 미만에 자산 소득 수익률을 10% 미만으로 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대략적으로 어느 정도 자산을 가지고, 어느 정도 수익률을 기대할 때 효과가 있을지 상상해보자.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K25sytHvqfgr304pgpImeJ9A6NqndTVyFay_CndbA8/edit?usp=sharing 에 파일을 공유해두었으니 본인이 더 저축할 수 있거나, 조금 밖에 저축할 수 없다면 금액을 바꿔가면서 거기에 맞추어 아래 글을 적당히 응용해서 읽어보자.

만약에 적당한 원룸에 월세를 살고 있는 상황이라면 한달에 60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을 것이다. 그럼 이것을 하나의 기준으로 볼 때, 도대체 자산 얼마를 가지고 자산 소득 수익률 얼마를 일으킬 때 내가 월세 정도는 자본주의의 세상에서 퉁 치며 살 수 있을까?

위 표를 참고해보면 1억원 정도로 7% 연간 수익률을 낼 수 있다면 한달 월세 정도는 낼 수 있다. 그냥 가만히 숨만 쉬어도 돈이 나가는 현대 사회에서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면 이 정도 상황은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Q. 모아둔 돈이 1억이 없는데 대출해서 1억만들고 7% 수익률 내면 될까요?

A. 가족, 지인 찬스나 회사 복지 혹은 정부지원 등의 혜택을 통해 이자율에 대한 부담이 거의 없다면 그렇게 해도 된다. 하지만 대출을 하는 순간 이자비용이 생긴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Q. 모아둔 돈이 1억도 없고, 대출도 받을 수가 없어요. 가만히 숨만 쉬어도 계속 마이너스가 되는 인생을 살고 있는데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A. 1억을 일단 모아야 한다. 대부분의 재태크에서 첫 1억 모으기가 제일 힘들다고 한다. 1억 모으는데 5년이 걸렸다면, 이미 돈 모으는 방법 (돈 아끼며 살아가는 방법, 돈 버는 방법) 등에 대해 깨달은 바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그 다음 1억을 모으는데는 절반의 시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일단 최대한 아낄 수 있는대로 아껴서 돈을 모으자. 괜히 투자를 어설프게 했다가 돈만 날리는 수가 있다. 혹은 사기를 당하던가…

Q. 은행에 예금해두면 이자가 2%도 안나오는데, 어떻게 7% 연간 수익률을 낸다는 거죠?

A. 미국의 인덱스 ETF 만 사도 연 평균 수익률이 7% 가까이 된다.

만약에 7%가 어렵다면… 4억원 정도로 연간 2% 수익률을 낼 수 있다면 월세 정도는 낼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이 4억원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2억원은 있을 수도 있으니 대충 은행에서 주는 예금이자랑, 어디서 투자해서 일으키는 투자 수익을 퉁 치면 2억으로 5% 수익률을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월세는 시간이 지날수록 오를 것이고, 본인도 나이를 먹으면서 더 나은 환경에서 살고싶은 욕구가 생길 것이다. 그렇다면 더 많은 월세를 지불하고 더 좋은 환경으로 가던가 주거 공간을 소유해야 할 텐데… 그렇다면 현상 유지만해서는 부족하다.

현재보다 더 나은 삶을 살고 싶다면

  • 본인의 실력 또는 환경을 바꾸어(그렇다 실력이 일정해도 환경을 바꾸어서 본인의 가치를 늘리는 방법도 존재한다) 노동 소득을 늘리던가
  • 더 허리띠를 졸라매어서 저축할 수 있는 비중을 늘리던가 (이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고통스러운 방법이므로 비추한다)
  • 자금 조달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끌어올 수 있는 방법을 찾던가 (대표적인 예가 부동산. 주택 구입을 위한 자금조달이 우리나라에서는 제일 쉽다. 혹은 가족, 지인 찬스. 혹은 투자실력을 늘려서 운용자금을 대줄 고객을 확보하라)
  • 자산 투자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찾던가 (투자 방법은 무궁무진하다. 사업을 해도 되고, 투자를 해도 된다. 이 방법의 문제는 정보들이 잘 정리되어 있지 않고, 좋은 사업/투자 방법은 잘 공유되지 않는다는점. 책도 많이 읽고, 혼자 공부와 조사도 많이 하면서, 시행착오도 많이 해봐야 한다.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없다면 차라리 허리띠를 졸라매는게 쉬운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해야 할 것이다.

+1
Previous articleTrumpnomics
Next articleInflation in 2021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 Advertisment -

Most Popular

Recent Comments